장애아동의 가정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바라기 작성일2003-05-12 10:35 조회4,57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장애아동의 가정지도
1. 주의가 산만할때
-장애아동이 쉴새없이 움직이며 일을 벌이는 것이 부모와 형제를 괴롭히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심하게주의가 산만할 경우에는 따라 다니면서 소리를 지르거나 규제한다고 해서 행동양상이 달라지지 않는다. 생활상 최소한의 규제, 가능하면 자녀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 좋다.
- 자유롭게 하되 최소한의 규제는 엄격해야 한다. 생활에 큰 지장을 주거나 다른 아동을 다치게 할만한 사항을 절대로 용납해서는 안된다.
-심리적인 문제로 주의가 산만한 경우에는 관심을 가지고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칭찬을,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면 규제하는 방법을 쓰면 차츰 행동에 질서가 잡히게 된다.
- 기질적인 원인으로 주의가 산만한 경우에는 무엇인가 알 수 없는 것이 조정하는 것처럼 딱히 목적을 가지고 움직이는 게 아니라 무목적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야단을 치거나 해도 잠시일뿐 다시 움직인다. 단순하게 교육만으로는 행동변화가 어렵고 자주 꾸중하게됨으로 해서 오히려 아이의 성격을 나쁘게 하거나 자신감을 상실하게 만들 수가 있다. 이러한 기질적인 문제로 심하게 주의가 산만한 아이는 우선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과잉행동이 없는 주의집중력 결핍의 경우는 부모들이 주의가 산만하다고 말하지 않는 경구가 많다. 그러나 집중해서 일정작업을 해야 할 때에 제대로 진행시키지 못하고 딴전을 피운다는 생각이 들어서 벌을 주게 된다. 이때에도 야단치는 것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내를 가지고 애정으로 자녀를 이해하고 지도해야 한다. 매일 일정 시간 자녀와 같이 보내는데 쉽고 흥미있는 작업을 시도해서 처음에는 단 몇분동안 집중해도 칭찬을 해주면서 진행하여 점차 시간을 늘여가도록 한다.
2. 상동행동을 보일때
-상동행동이란 일정한 형태의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가끔씩 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일이 없으면 거의 하루종일 쉬지 않고 반복한다. 행동양상은 다양해서 여러 가지가 있다. 방의 이끝에서 저끝까지 왕복하며 다닌 다든가, 나비처럼 손을 펄럭이면서 발끝으로 온 집안을 통통거리며 다니든가, 눈에 보이는 물건은 무엇이든지 일단 돌리는 것 등이다.
-상동행동은 자기자극적 행동으로 자폐적 상태가 심한 아동일수록 심하다. 못하도록 하면 굉장히 화를 내거나 당장에는 그치나 부모가 손을 떼는 순간 다시 시작한다.
-기본적으로 자기자극적 행동에서 아동을 벗어나게 해야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상동행동을 보이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 심심하거나 하는 일이 없으면 상동행동이 더욱 심해진다. 그렇다고 야단을 치거나 매를 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자폐적인 아동들은 쉽게 다른 일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이 문제해결의 난점이다.
-종일부모가 붙어 있기는 어려운 실정이니 매일 일정시간을 정해놓고 그 시간 중에는 다른 일에 관심을 갖도록 시킨다. 먹을 것을 먹이거나 시장을 데리고 가거나 놀이터에 데리고 가거나 하는 쪽으로 유도해봐야 한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자녀가 하는 대로 똑같이 행동하고 소리냄으로 해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흥미를 줄이고 따라하는 부모에게 관심을 보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3. 대소변 가리기
-대소변을 가리는 것은 아동의 지적 능력, 정서적 안정감, 신체기관의 발달 등 복합적인 요인과 관계가 있으므로 어느 정도는 아동이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닐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자폐아동의 경우에는 대부분 대소변 가리는 시기가 늦는 경향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나이가 많이 들었고 가릴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을 갖추었는데 낮에도 기저귀를 계속 채워두는 것은 대소변 가리는 시기를 더욱 늦출 뿐이다. 낮에는 어느정도 실수 할 것임을 감안하여 여분의 옷을 마련하여 지도에 힘써볼 필요가 있다.
-너무 대소변 가리기를 강요하면 심리적 긴장을 유발하게 되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 때로는 대소변 가리는 일외의 일에도 그 긴장이 파급되어 생활전반에 자신감을 잃을 수도 있고 부모 역시 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