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바라기 작성일2003-05-12 10:31 조회4,68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자 폐 증
1. 자폐증의 특징
1) 아동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발달이 비정상적이다.
2) 아동이 정상적으로 의사소통을 하지 못한다.
3) 아동의 흥미와 활동이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다.
→ 위의 행동이 3세 이전에 나타나면 자폐증이라고 진단할 수 있다.
★ 자폐증의 주요 임상적 특징
1. 사람과 관계 형성의 문제 - 눈맞춤과 접촉의 어려움
2. 모방능력의 결여
3. 정서적 반응의 부적절성- 상황과 일치하지 않는 기분과 기분의 잦은 변화
4. 신체사용의 부적절성- 이상한 손가락 운동,몸흔들기,돌기,까치발들기등의 신체활동 반복
5. 물체사용의 부적절성- 특정물체에 집착, 이상한 방법으로 물체 사용
6. 변화 수용의 어려움을 가짐-익숙한 일상규칙변화에 거부
7. 시각적 반응의 부적절성- 눈맞춤 피함, 각도와 거리, 시선등의 부적절함
8. 부적절한 청각적 반응- 특정소리에 선택적으로 과대 또는 과소반응
9. 맛,냄새,촉각, 감각반응과 사회의 부적절성-나이에 맞지 않게 입으로 물체 탐색,과민한 촉각반응또는 촉각의 무반응
10. 공포증 및 신경 과민성 반응- 위험에 무반응(높은곳 올라가기등), 일상물체나 경험에 과대또는 과소반응
11. 언어에 대한 의사 소통의 문제-대명사 전도, 광고문구등에 집착,반향어,억양의 부적절함
12. 비언어적 의사 소통의 문제-비언어적인 타인의 감정이나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함
13. 활동수준의 부적절성-극도의 신체활동 또는 비활동성의 양극단
14. 지적기능의 수준과 발달의 문제-또래에 비해 지체, 특정적기능은 (미술,음악,수,문자등)특이한 재능을 지닐 수 있음
★자폐아 교육프로그램의 바람직한 구성요소
1. 조기교육- 가능한 가장 이른시기에 교육의 제공시작
2. 구조화된 교육- 행동분석을 적용한 구조화된 교육 제공
3. 부모참여- 아동과 부모의 개별적 특성에 따란 부모를 교육에 참여
4. 집중적인 교육- 교육시간. 교육환경의 다양성, 교육내용의 타당도등으로 구성된 교육의 강도를 강조
5. 일반화 프로그램- 학습한 특정기술이나 행동을 다양한 환경에 일반화하도록 교수
6. 사회성 및 의사소통기술을 강조한 교과 과정- 자폐장애의 대표적인 특성인 사회성 및 의사소통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교과과정 운영
7. 교사의 자질- 자폐아동의 이해와 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교사
8. 통합교육- 자폐의 주요장애특성인 사회성 발달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정상적인 환경과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환경에서의 교육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